산림조합뉴스 97호

임산물 가격 동향 | 2025. 01. 구 분 가 격 증감률(%) 비 고 전년 전월 당월 전년 전기 감 생산지 곶감 19,330 19,570 17,670 -8.59 -9.71 상주,영암,완주,청도 소비지 곶감 31,670 29,070 25,240 -20.3 -13.18 상주,영암,완주,청도 생산지 떫은감 2,180 2,210 2,260 3.67 2.26 곡성,광양,군산,김제,사천,산청,상주,순천,영광,영동,영암,의령,임실,청도,하동, 함양,합천 소비지 떫은감 2,840 2,870 2,870 1.06 0 곡성,광양,군산,김제,사천,산청,상주,순천,영광,영동,영암,임실,하동,함양,합천 고사리 생산지 고사리(건) 78,050 77,210 76,890 -1.49 -0.41 고성,곡성,김제,남해,무주,사천,산청,서귀포,순천,양구,울산,의령,진안,통영 소비지 고사리(건) 116,000 118,680 117,240 1.07 -1.21 고성,곡성,광주,김제,남해,무주,사천,산청,서귀포,서울,순천,양구,울산,의령,진안,통영 대추 생산지 건대추 11,540 11,310 11,260 -2.43 -0.44 경산,경주,구미,군위,밀양,보은,서울,여주,영천,완주,인천,청도,청송 소비지 건대추 17,870 17,240 17,200 -3.75 -0.23 경산,경주,구미,군위,대구,밀양,보은,서울,여주,영천,완주,인천,청도,청송 더덕 생산지 피더덕 15,640 15,750 15,950 1.98 1.27 강릉,금산,삼척,서귀포,양구,양평,장수,정선,제주,춘천,홍천,횡성 소비지 피더덕 21,750 21,820 22,000 1.15 0.82 강릉,금산,삼척,서귀포,양구,양평,장수,정선,제주,춘천,홍천,횡성 도라지 생산지 피도라지 9,460 9,570 9,560 1.06 -0.1 금산,삼척,화순,횡성 소비지 피도라지 12,310 12,380 12,280 -0.24 -0.81 금산,삼척,화순,횡성 밤 생산지 밤 2,950 3,030 3,030 2.71 0 공주,부여,산청,청양,하동 소비지 밤 6,140 5,940 6,100 -0.65 2.69 공주,부여,산청,서울,창원,청양,하동 오미자 생산지 오미자(건) 34,750 37,460 37,930 9.15 1.25 거창,무주,문경,인제,장수,제천,진안 소비지 오미자(건) 51,440 54,300 54,710 6.36 0.76 거창,무주,문경,인제,장수,제천,진안 생산지 오미자(생) 10,400 10,430 10,620 2.12 1.82 무주,문경,상주,인제,장수 소비지 오미자(생) 12,970 13,090 13,200 1.77 0.84 무주,문경,상주,인제,장수 잣 생산지 깐잣 83,580 95,040 96,240 15.15 1.26 가평,남원,양평,여주,인제,철원,춘천,평창,포천,홍천 소비지 깐잣 99,940 113,220 114,690 14.76 1.3 가평,남원,양평,여주,인제,인천,철원,춘천,평창,포천,홍천 생산지 피잣 13,400 13,400 13,400 0 0 남원,철원 소비지 피잣 14,900 14,900 14,900 0 0 남원 취나물 생산지 취나물(건) 23,220 26,290 26,500 14.13 0.8 고흥,울산,원주,하동 소비지 취나물(건) 28,850 34,390 35,190 21.98 2.33 고흥,울산,원주,하동 생산지 취나물(생) 6,750 8,100 7,750 14.81 -4.32 고성,고흥 소비지 취나물(생) 11,750 12,000 12,010 2.21 0.08 고성,고흥 표고 생산지 표고버섯(건) 62,180 64,000 64,500 3.73 0.78 거제,고령,공주,김포,부안,성주,영천,완도,익산,장흥,제주,진도,진안,청송,파주,포항 소비지 표고버섯(건) 83,870 85,300 85,270 1.67 -0.04 거제,고령,공주,김포,부산,부안,성주,영천,완도,익산,장흥,제주,진도,진안,청송, 파주,포항,화성수원오산 생산지 표고버섯(생) 11,400 11,710 11,870 4.12 1.37 강릉,거제,경산,경주,고령,고성,구미,군산,김제,김포,김해,남원,부안,사천,서귀포, 성주,순창,안동,양양,영덕,영암,영월,영천,완도,울산,원주,이천,익산,임실,장흥, 정선,진도,철원,통영,파주,포항,합천,화성수원오산,화천 소비지 표고버섯(생) 16,890 16,190 16,140 -4.44 -0.31 강릉,거제,경산,경주,고령,고성,광주,구미,군산,김제,김포,김해,남원,부산,부안,사천, 서귀포,성주,순창,안동,양양,영덕,영암,영월,영천,완도,울산,원주,이천,익산,임실, 장흥,정선,진도,창원,철원,태안,통영,파주,포항,합천,화성수원오산,화천 호두 생산지 깐호두 60,000 60,000 60,000 0 0 김천,영동,천안 소비지 깐호두 80,330 80,330 80,330 0 0 김천,영동,천안 생산지 피호두 19,680 19,750 19,750 0.36 0 김천,영동,천안,청송 소비지 피호두 26,260 26,500 26,500 0.91 0 김천,영동,천안,청송 단기소득임산물 자료 제공 임산물유통정보시스템(www.forestinfo.or.kr) 단위 : 원/㎏ 116 2025 February 컬러링 이벤트 참여방법 ➊ 위의 컬러링 이미지를 예쁘게 색칠한 후 완성된 그림을 사진으로 찍어요. ➋ 오른쪽 QR코드로 이벤트 참여 페이지에 접속해 촬영한 그림을 업로드해주세요. ➌ 참가자의 이름, 연락처,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참여해주신 분 중 추첨을 통해 소정의 선물을 보내드립니다. ※ 접수 마감일: 2025년 2월 14일(금) 2025년 2월 산림조합 컬러링 스케치
아빠와 함께 배우는 자연 이야기 글+그림 황경택_『숲 읽어주는 남자』 저자, 만화가 떡국 먹고 한살 더 먹었네. 맞다 ! 나무도 나이 먹지? 몇 살인지 물을 수도 없는데 어떻게 나이를 알지? 저쪽으로 가보자.당연하지~ 스트로브 잣나무야. 그렇게 간단해? 여기 층이 보이지? 한번 세봐 본 적 있어. 하나, 둘, 셋... 어... 21개. 21개면 이 나무는 바로 21살입니다. 아주 간단해. 올해는 나잇값 하세요. 앗! 엄마가 자주 해서 나도 습관이 됐네? 딸이 아빠에게 할 말은 아닌 듯 하네? 아빠도 마흔이구나. 반복해온 습관이 지금의 저 나무 모양을 만든 거지. 네네네네! 딸도 아빠가 안 깨워도 알아서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시길~ 아빠도 좋은 습관을 들여 그만 혼나시길~ 서운해... 모든 나무가 다 그렇지는 않지만 잣나무처럼 일 년에 한 칸씩 자라는 나무들이 있어. 그래서 칸을 세면 나이를 짐작할 수 있는 거지. 한 칸씩 꾸준히 자라서 지금의 모양이 된 거야. 108 2025 February 2월, 탑 쌓듯 자라는 스트로브잣나무 어느새 2월이 밝았습니다. 지난달에는 설날도 있었지요. 설날 하 면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떡국인데요. 우리 민족은 떡국을 한 그릇 먹어야 나이도 한 살 먹는다고 여겨왔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화는 없지만 나무도 당연히 나이를 먹습니다. 그런데 나이 를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이테를 세면 얼추 파악할 수 있지만, 나이 하나 알자고 살아 있는 나무를 자를 수는 없겠죠. 다행히 꽤 근사치로 나이를 유추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특히, 이 추운 계절에도 푸르른 빛을 띤 소나무나 잣나무와 같은 침엽수는 쉽게 나이를 셀 수 있는데요. 이번 호에서는 도심 공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트로브잣나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스트로브잣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입니다. 1920년경 국내에 도 입된 이후 공원의 조경수나 가로수로 많이 심기고 있습니다. 영어 이름은 white pine인데요. 나무껍질이 회백색을 띠는가 하면 잎 에 희끗희끗한 부분도 있어 그렇게 부르는 듯합니다. 학명은 pinus strobus로 pinus는 소나무를, strobus는 솔방울을 뜻합니다. 주렁 주렁 매달린 솔방울이 인상적이어서 그렇게 이름을 붙였나 봅니다. 침엽수 열매는 솔방울처럼 동그랗고 조각조각 쪼개지는 형태인데 요. 이런 열매를 구과(毬果)라고 합니다. 스트로브잣나무의 열매 도 구과입니다. 소나무의 씨앗은 새나 청설모는 먹지만 우리는 먹 지 않지요. 반면 잣나무의 씨앗은 우리 식탁에 자주 오르는 잣입 니다. 하지만 스트로브잣나무의 씨앗은 소나무처럼 씨앗이 작고 날개가 달려 있어 바람을 타고 이동합니다. 침엽수들은 겨울눈에서 새로 나온 가지가 일 년에 한 번만 자라는 데 이를 ‘고정생장’이라고 합니다. 특히 잣나무들은 줄기가 층층이 자라는 현상이 뚜렷해서 층의 개수를 세면 그 나무의 나이를 짐작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침엽수들은 겨울눈 중 끝눈이 곁눈보다 더 많이 자라는 ‘끝눈우성’ 현상에 의해서 삼각형의 수형을 만들어냅 니다. 스트로브잣나무는 이 두 가지 현상이 아주 뚜렷한 나무인데 요. 반복되는 고정생장과 끝눈우성이라는 현상이 더해져 삼각형 탑을 층층이 쌓아놓은 듯한 모습을 하게 되는 것이지요. 무엇이든지 오랜 시간 꾸준히 반복하면 그것이 내가 되고 나의 삶 이 됩니다. 새해를 맞아 세운 이런저런 계획들을 조급해하지 말고 찬찬히, 조금씩 반복해나가면 원하는 것에 다가갈 수 있을 것입 니다. 만약 줄기의 층을 맨 위까지 세기 가 어렵다면 가지를 세어도 된다.스트로브잣나무 나이 세기 익어서 씨앗들이 모두 날아간 열매 새로 나온 암꽃 덜 익은 열매 송진이 많다. 가지치기해서 가지는 없지만 여기서부터 1살로 보고 세면 된다. 109www.sanrimji.com